티스토리 뷰

 

 

우리나라는 봄, 여름, 가을 겨울 총 4계절이 있습니다. 계절이 크게 4개로 나뉜다면, 오늘은 계절이 세분화된 24 절기의 유래 및 2023년 24 절기 중 봄에 해당하는 절기의 날짜와 의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 

 

 

24 절기의 유래 - 24 절기란 무엇인가요? 

24 절기는 태양의 황도상 위치 (황경)에 따라 계절적으로 구분한 것으로, 1년을 12 절기와 12 중기로 나누고 이를 24 절기라 하며, 황도에서 춘분점을 기점으로 15도 간격으로 점을 찍어서 총 24개의 절기로 나뉘고 나타내는 것을 말합니다.

 

절기 : 한달 중 월 초에 해당.

중기 : 월 중에 해당.

 

절기는 매 달 4일~8일 사이 즈음 돌아오며, 중기는 매 달 19일에서 23일 사이에 돌아온다고 합니다. 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2023년 24절기 중 봄의 절기 (2월 ~ 4월) 

 

입춘 :  봄이 시작되는 날. (양력 2월 4일경)

입춘은 24절기 중 제일 첫 번째 절기입니다. 태양의 황경은 대략 315도 정도이며, 겨울에서 벗어나 드디어 봄이 시작됨을 알리는 날입니다. 

 

 

우수 : 차가운 얼음이 녹아내리고 싹이 트는 날. (양력 2월 19일) 

우수는 24절기 중 두 번째 절기로서, 태양의 황경은 330도 정도이며, 눈에서 비가 되고 얼음이 물로 변한다는 날입니다. 

 

 

 

경칩 : 겨울잠 자던 개구리가 깨어남. (양력 3월 6일) 

경칩은 24절기 중 세 번째 절기로서, 태양의 황경은 대략 345도 정도입니다. 겨울동안 쿨쿨 잠자던 개구리와 동물들이 깨어나기 시작하는 때입니다. 

 

 

 

춘분 : 드디어 낮이 길어지기 시작. (양력 3월 21일) 

춘분은 24절기 중 네 번째 절기로서, 태양의 황경이 0도가 되고 태양이 적도를 똑바로 비추고 있기에 '춘분' 쯔음부터 낮과 밤의 시간이 비슷해지다가 낮 시간이 점점 더 길어지기 시작하는 때입니다. 

 

 

 

청명 : 따스한 햇살 아래 봄 농사준비. (양력 4월 5일)

청명은 24절기 중 다섯 번째 절기로서, 태양의 황경은 약 15도이고 날씨가 맑고 화창하여 식물이나 나무를 심거나 또는 논농사를 준비하고 시작하기에 하늘이 맑고 청아하다는 의미를 가진 날입니다. 

 

 

 

 

곡우 : 따뜻한 농사비가 내림 . (양력 4월 20일) 

곡우는 24절기 중 여섯 번째 절기로서, 태양의 황경이 약 30도이고 하늘에서 따뜻한 비가 내려 작물에 새싹이 돋고 농사를 지어 곡식을 기름지게 한다는 의미를 가진 날입니다.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오늘은 우리의 계절을 좀 더 세분화하여 알 수 있는 24 절기의 유래와 의미, 그리고 24 절기 중 봄의 절기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.  

 

 

이번해에는 유난히 작년보다도 더 추운 겨울을 지냈던 것 같은데, 벌써 연말이고 해의 끝자락에 있네요.

다가오는 새해의 봄이 오고 따스함도 곧 맞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. 

 

 

24절기를 통해 계절의 날씨와 변화를 알게 되니 참 재밌어서 공유드리게 되었는데, 정보들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.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반응형